본문 바로가기
  • 투자는 내가 산 자산을 누군가 더 비싼 가격에 사줘야 이기는 게임이다.
미국 주식시장 입성기

Chapter 3. 연준에 대한 이해(2) - 연준의 통화정책(上)

by 현秀 2024. 2. 13.

<미국 연방준비시스템>

 

앞 장에서 연준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구체적으로 연준은 2% 내외의 안정적인 물가, 낮은 금리를 통한 통화 공급의 적절한 조정, 이에 따른 기업의 성장, 기업의 성장에 따른 일자리 창출 및 안정적인 유지, 그리고 주식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1. 연준의 통화정책 수단

연준은 그들의 목표인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목표 물가를 2%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연준은 목표 물가 2%를 달성하기 위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통화정책 수단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단은 크게 기준금리의 조정, 자산 매입으로 나뉩니다.

 

(1) 기준금리의 조정

기준금리 조정은 연준의 가장 빠르고 영향력이 큰 통화정책 실현 수단입니다. 연준이 기준금리 조정을 하게 되면 LIBOR(은행들 간 자금을 융통할 때 쓰는 단기 이자율)와 같은 단기금리가 변하게 됩니다. 특히 LIBOR 금리가 변하게 되면 시중의 변동금리가 변하게 되고, 이는 미국인의 실생활에 직접 영향을 주는 자동차 대출금리, 주택 변동금리 등이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단기금리가 변하게 되면 투자자들은 중장기 경제 미래에 대해 예측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투자를 결정하게 되며 자금의 수요 공급에 따라 장기 금리가 변동하게 됩니다.

 

연준의 기준금리 조정단기금리 변화장기금리의 변화투자시장의 변화

 

시장 참여자들에 의해 미래의 경기가 희망적이라고 판단되면 국채의 단기 수익률은 안정이 되고 장기 수익률은 올라도 안정적으로 오르게 됩니다. 장기 채권은 단기 채권보다 불확실성이 더 크기 때문에 장기 채권을 보유하는 만큼 미래 리스크에 대한 프리미엄을 원하기 때문에 장기 채권의 수익률이 단기 채권의 수익률보다 더 높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억하시나요? 이전 Chapter에서 장단기 금리차이(10Y2YS)가 마이너스이면 경기 침체가 1년 이내에 온다는 사실을요. 장단기 금리차이는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에서 2년 국채 수익률을 뺀 것을 말합니다. 위험프리미엄 때문에 장기 채권의 수익률이 단기 채권의 수익률보다 높아야 하는데, 단기 수익률이 장기 수익률보다 높아졌다는 것은 현재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단기 리스크로 인한 대가로 단기 수익률을 더 달라는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경제가 안정적일 때는 미국 국채 장기 수익률이 단기 수익률보다 높으며, 미국 단기 · 중기 · 장기 국채의 수익률이 안정적으로 서로 차이를 두게 되는데, 이것을 보여 주는 그래프가 바로 수익률 곡선입니다. 수익률 곡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장에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편 연준이 시장 상황에 의해 기준금리 조정의 필요성을 느낄 때는 아래의 3가지를 기준금리 조정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 법정지급준비율

- 공개시장 운영

- 재할인율

 

1) 법정지급준비율

각 국가들은 시중은행의 자산 운영 건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중은행이 일정한 현금과 채권을 은행에 예치하도록 강제하고 있는데, 이때의 예치금을 법정지급준비금, 고객 예금 대비 예치금 비율을 법정지급준비율이라고 합니다. 연준은 현재 기준금리가 적정한지 판단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의 법정지급준비금을 항상 모니터링합니다. 시중은행들의 법정지급준비금이 부족하다는 것은 소비자와 기업들의 자금 수요가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시장에 통화량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준이 법정지급준비율을 낮추게 되면 시중은행들은 필수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예치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더 많은 돈을 시중에 빌려줄 수 있게 되고, 이는 시장에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어 경기가 확장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반대로 연준이 법정지급준비율을 높이면 시중에 통화량이 줄어들어 경기 수축을 유도할 수 있게 됩니다.

 

2) 공개시장 운영

시중은행들은 매일 영업시간 이후 은행이 보유한 자금을 정산합니다. 시장의 자금수요에 의해 대출이 증가하였을 때 은행이 당일 영업 마감 이후 정산을 하면 대출 및 예금의 차이 때문에, 급작스럽게 연준이 정한 법정지급준비율 기준에 미달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러면 은행은 연준이 정한 법정지급준비율을 맞추기 위해 또다른 은행에 자금을 빌려서 이를 충당하게 됩니다. 보통 빌리는 기간은 대부분 하룻밤 정도이며 이때 빌리는 자금의 이자는 연준의 기준금리입니다.

 

만약 시장에 자금 수요가 많아져 시중은행들 간에도 법정지급준비금이 많이 부족한 경우가 생기면 연준에서는 이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의 자산을 매입함으로써 시중은행에 자금을 공급해주는데 이를 공개시장 운영이라고 합니다. 매입 자산의 대상은 주로 미국 국채, 주택저당증권 등이 있습니다.

 

3) 재할인율

시중은행들이 법정지급준비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공개시장 운영을 통해 연준에 자산을 매각하는 방식 외에도 뉴욕 중앙은행의 할인 창구를 통해 자금을 융통할 수 있습니다. 자금 융통을 위한 백업장치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다만 할인 창구를 통해 시중은행이 빌리는 이자는 연준 기준금리보다 항상 비쌉니다. 이때의 이자율을 재할인율(Discount Rate)이라고 하며, 14일마다 연준 이사회에서 결정을 합니다.

 

앞서 시중은행들은 법정지급준비금이 부족하면 또다른 시중은행들에게서 자금을 빌리게 되고, 이때의 이자율은 연준 기준금리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시중은행이 자금을 융통할 때 저금리에 빌릴 수 있으면 저금리인 연준 기준금리를 이용하지 굳이 할인 창구를 통해 비싼 금리를 이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시중은행들이 할인 창구를 통해 비싸게 돈을 빌린다는 것은 시장에 뭔가 이상한 조짐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대출 수요가 지나치게 많거나 시중은행에서 현금 인출이 많아져 은행이 현금이 부족할 때 발생하게 되는데, 갑작스러운 시장의 이상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해서 이 재할인율도 검토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미국의 재할인율(Discount Rate)을 확인하기 위해서 'google'에 'frbdiscount discount window' 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The Federal Reserve Discount window에서 Discount Rate를 조회한 모습>

https://www.frbdiscountwindow.org/Pages/Discount-Rates/Current-Discount-Rates

 

(2) 자산 매입(양적완화)

자산 매입은 중앙은행이 시중은행들에게서 금융자산인 장기 채권을 매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연준에게 국채를 판 시중은행들은 유동성이 풍부해져서 이 현금을 대출 상품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자산 매입을 통해 중장기 국채의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금리가 낮아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금리가 안정화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됩니다.

<자산 매입(양적완화) 메커니즘>

 

자산 매입은 시중은행의 자산을 중앙은행이 매입한다는 점에서 앞서 알아보았던 공개시장 운영과 유사한데, 차이점은 공개시장 운영은 시중은행들이 그들의 법정지급준비율 기준을 맞추기 위해 자산을 매각하는 것이라면 자산 매입은 어떠한 수익률 목표치를 주지 않고 일정한 양의 자금을 시장에 푼다는 개념입니다. 즉 자산매입은 통화 양적 팽창을 통해 경제 위기를 극복한다는 경기부양책에 더 가깝습니다.

 

 

정리해보겠습니다. 연준은 물가 목표 2%를 달성하기 위해 기준금리 조정이라는 통화정책을 사용하여 물가를 조정하게 됩니다. 연준은 기준금리 조정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의 법정지급준비율 조정, 공개시장 운영, 재할인율이라는 수단을 사용합니다. 기준금리의 조정으로 인해 단기금리가 안정화되면 장기금리 중의 하나인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이 안정화됩니다. 특히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은 시장 금리의 기준이 되는데, 안정된 시장 금리는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미래 경제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가져다 주어 주식시장이 활성화됩니다. 또한 연준은 시중에 통화량이 부족하거나 경기 침체시에는 기준금리 조정보다 더 강력한 자산 매입이라는 정책을 통해 경기부양을 이끕니다.

 

참고로 연준 기준금리에 대한 예측은 시카고 상품거래소 사이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CME FED WATCH TOOL' 이라는 사이트인데 이 사이트를 통해 향후 연준이 FOMC에서 발표한 기준금리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google'에 'cme fed watch tool' 이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CME Group 사이트를 통해 연준의 예측 기준금리를 조회하는 모습>

https://www.cmegroup.com/markets/interest-rates/cme-fedwatch-tool.html

 


 

'미국주식투자바이블(레이저 Dean Choi)' 을 학습하고,  블로그 저자의 미국 주식 투자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재작성한 글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