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투자는 내가 산 자산을 누군가 더 비싼 가격에 사줘야 이기는 게임이다.

기준금리5

Chapter 3. 연준에 대한 이해(4) - 요약 정리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하면, 연준의 모든 정책은 궁극적으로 '물가 안정'에 목표를 둔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앞서 연준은 물가가 안정되어 있는지 중간 점검을 하기 위해 여러 경제지표를 확인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연준이 물가 변화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확인하고 있는 경제지표에 대해서 알아보고, Chapter 3의 주요 내용을 최종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주요 거시경제지표 지표명 설명 발표 기관 GDP 전반적인 경제 성과 경제분석국 Nonfarm Payroll Employment 고용시장 및 실업률 노동통계국 Consumer Price Index(CPI) 소비자물가지수 노동통계국 Producer Price Index(PPI) 생산자물가지수 노동통계.. 2024. 3. 10.
Chapter 3. 연준에 대한 이해(2) - 연준의 통화정책(上) 앞 장에서 연준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구체적으로 연준은 2% 내외의 안정적인 물가, 낮은 금리를 통한 통화 공급의 적절한 조정, 이에 따른 기업의 성장, 기업의 성장에 따른 일자리 창출 및 안정적인 유지, 그리고 주식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1. 연준의 통화정책 수단 연준은 그들의 목표인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목표 물가를 2%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연준은 목표 물가 2%를 달성하기 위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통화정책 수단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단은 크게 기준금리의 조정, 자산 매입으로 나뉩니다. (1) 기준금리의 조정 기준금리 조정은 연준의 가장 빠르고 영향력이 큰 통화정책 실현 수단입니다. 연준이 기준금리 조정을 하.. 2024. 2. 13.
Chapter 2. 미국 금융시장 이해하기(2) - 금융시장 내 자산시장들 간의 관계(채권시장) 미국의 금융시장들은 서로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하나의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금융시장 메커니즘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과 7개의 금융자산 시장들로 구성된 관계입니다. 미국의 7개 금융시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미국의 7개 금융시장 ① 채권시장 : 미국 국채 및 회사채를 거래하는 시장 ② 주식시장 :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 ③ 외환시장 : 미국달러 및 여러 국가들의 화폐를 거래하는 시장 ④ 커머더티시장 : 금, 은, 구리, 원유 등 산업 원재료를 거래하는 시장 ⑤ ETF시장 : ETF를 거래하는 시장 ⑥ 선물시장 : 선물 계약을 거래하는 시장 ⑦ 옵션시장 : 옵션 계약을 거래하는 시장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이 7개의 금융시장은 다음의 순서대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습니다. ▶ 기준금리 .. 2024. 1. 1.
Chapter 2. 미국 금융시장 이해하기(1) - 연방준비은행에 대한 이해 미국 증시에서의 미국 연방준비은행(이하. 연준)의 영향력은 어마어마합니다. 연준 위원장의 말 한마디에 따라 미국 증시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는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연준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수입니다. 1.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목표로 하는 세가지 - 물가 안정 - 장기 금리의 안정성 - 최대 고용 연준의 목표는 위 세 가지를 달성하는 것이며, 기준금리 조정이라는 통화 정책을 사용하여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연준이 기준금리를 조정할 때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2. 연준의 기준금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순서 ▶ 기준금리 → 국채 수익률 → 시장금리 → 주식시장 → ETF(주식시장의 영향), 커머더티(시장금리와 주식시장의 영향) → 미국달러(주식시장과 커머더티의 영향) ①.. 2023. 12. 31.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세상에 대한 원초적인 이해 자본주의 세상인 현실에서는 절대로 물가가 내려갈 수 없다. ​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이유는 바로 '돈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하락한다. 돈의 가치가 하락하니까 결과적으로 물건 값, 즉 물가가 오르는 것이다. ​ 돈의 양은 항상 물건의 가치보다 많아질 수 밖에 없다. 기업은 물건을 생산한 대가로 물건의 가치보다 큰 돈을 벌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번 돈으로 물건을 사고 남은 돈들은 은행에 저축한다. 전 세계가 물물교환을 하지 않는 한 돈은 끊임없이 생성될 수 밖에 없다.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돈의 양을 줄일 수 없는 이유는 돈의 양이 많아지지 않으면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사회는 제대로 굴러갈 수 없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창조하는 것은 은행이다. 우리가.. 2023.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