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투자는 내가 산 자산을 누군가 더 비싼 가격에 사줘야 이기는 게임이다.
미국 주식시장 입성기

Chapter 2. 미국 금융시장 이해하기(9) - 금융시장 내 자산시장들 간의 관계(요약 정리)

by 현秀 2024. 2. 5.

Chapter 2를 마무리하는 차원에서 그동안 우리가 배웠던 금융시장 메커니즘을 중요한 사항을 위주로 최종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시장 메커니즘>

 

금융시장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 연준 기준금리가 변하면 채권의 수익률이 변한다.(F1)

- 시장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 방향이다.

- 채권수익률과 주식시장의 방향은 반대이다.(A)

- 커머더티와 시장 금리(미국 10년 국채 수익률)는 동일 방향이다.(B)

- 달러가치와 커머더티는 반대 방향이다.(C)

- ETF 시장은 경제 순환 주기를 확인할 수 있는 시장이다. 이 순환에 따라 11개 섹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F)

- 섹터 순환은 리밸런싱으로 개별 주식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J, H)

- 선물시장은 시장 선행지수이다.(D, E, F)

- 옵션시장의 풋-콜 비율과 VIX는 미래 시장의 흐름과 변동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된다.(G, I)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은 미국 시장 금리의 기준이 된다.

- 이 수익률은 순현재가치 계산 및 기업가치 평가의 할인율로 사용된다.

- 그러므로 수익률이 증가하면 순현재가치 및 기업가치가 자연스럽게 하락하며, 수익률이 하락하면 가치는 증가한다.

- 10Y2YS는 미국 10년 국채와 2년 국채의 수익률의 차이다.

- 10Y2YS는 리세션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로서 연준이 주의 깊게 관찰하는 지표다.

-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금리가 되면 금 가격이 최고가를 갱신하게 된다.

-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 이자가 상승하기 때문에 보관비용이 높아지는 커머더티의 가격이 상승을 한다. 그래서 이자가 상승하는 동안은 물가가 상승하고 커머더티의 수요는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우리는 Chapter 2를 통해 금융시장 내 자산시장들간의 메커니즘을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금융시장 내 자산시장들간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게 되면 과연 지금이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적기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아무리 좋은 주식이라고 하더라도 현 시점이 투자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라면 주가는 상승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투자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바로 미국 연방준비제도, 즉 연준입니다. 연준은 연준 스스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정책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투자시장을 조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Chapter에서는 미국 주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연준의 목표, 연준의 정책을 중점적으로 알아볼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시시각각 발표되는 연준의 정책이 주식식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쉽게 이해할수 있을 것입니다.

 


 

'미국주식투자바이블(레이저 Dean Choi)' 을 학습하고,  블로그 저자의 미국 주식 투자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재작성한 글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