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투자는 내가 산 자산을 누군가 더 비싼 가격에 사줘야 이기는 게임이다.
미국 주식시장 입성기

Chapter 2. 미국 금융시장 이해하기(8) - 금융시장 내 자산시장들 간의 관계(옵션시장)

by 현秀 2024. 1. 30.
<옵션시장이란 무엇일까>

 

옵션은 매우 공격적인 투자법이라는 점에서 큰 위험이 따릅니다. 옵션시장은 효율적인 시장이어서 최소한의 자본으로 최대한의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만, 투입한 자본을 모두 날릴 수도 있는 위험한 시장입니다. 그러나 변동성이 심한 주식시장에서 시장이 호황이든 불황이든 보합장세이든 상관없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옵션이기도 합니다.

 

옵션 상품은 아래 그림과 같이 'Option Chains'라는 표를 보면서 거래를 하게 됩니다. 이 표를 통해 옵션의 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옵션의 기본 개념

<Option Chains>

 

위 표에서 2017년 1월 20일 애플의 주가는 117.18달러이고 좌측이 콜옵션, 우측이 풋옵션입니다. 그리고 가운데 Strike price가 옵션 투자자들이 선택하여 투자할 수 있는 가격입니다. 현재 애플 주식이 117.18달러인데 23일 뒤에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분석한다면 그 가격을 예측하여 콜옵션을 매수합니다. 옵션 계약금액은 Last라고 있는 부분의 가격입니다. 예를 들어, 119달러의 콜옵션을 살 경우 콜옵션 가격은 1.09달러입니다. 옵션은 주식과 달리 거래 기준이 1계약(contract) 단위인데 보통 1계약 당 100주입니다. 따라서 1.09 X 100으로 109달러를 지불하고, 지금으로부터 23일 뒤(만기) 애플 주식 100주를 119달러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는 것입니다.

 

만약 23일 뒤 애플 주식의 종가가 118달러라면, 옵션 투자자는 118달러 주식을 119달러를 지불하고 손해보면서 매수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경우 계약금으로 지불하였던 옵션 가격 109달러는 모두 허공으로 날아가는 것입니다. 또한 23일 뒤 애플 주식 종가가 121달러라면, 121달러인 애플 주식 100주를 119달러에 산 셈이니, (121-119) X 100 = 200달러 이익에서 옵션 계약금 109달러를 차감한 총 91달러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119달러의 풋옵션을 산다면 풋옵션 가격은 3.05달러입니다. 만약 23일 뒤 애플 주식의 종가가 118달러라면, 옵션 투자자는 118달러 주식을 119달러에 팔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되므로 (119-118) X 100 = 100달러 이익에서 옵션 계약금 305달러를 차감한 총 (-)205달러의 손실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23일 뒤 주식 종가가 121달러라면, 121달러 주식을 119달러에 손해보면서 매도할 필요가 없으므로, 계약금 305달러를 날리게 되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옵션은 정해진 가격(Strike Price)으로 미래의 정해진 날짜(옵션 만기일)에 매수 혹은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상품이고, 콜옵션은 매수권리를, 풋옵션은 매도 권리를 사는 것입니다.

 

 

2. 옵션시장과 주식시장간의 관계

보통 콜옵션의 계약이 많으면 앞으로 주식시장이 상승할 것이라는 데 투자를 많이 한 것이고, 풋옵션의 계약이 많으면 앞으로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이라는 데 투자를 많이 한 것입니다. 따라서 옵션 투자자가 아니더라도 콜옵션과 풋옵션을 살펴보면 주식시장의 미래 방향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자 관점에서 옵션시장은 크게 아래와 같이 두 가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래에 대한 시장 흐름 예측 판단

② 미래에 대한 시장 변동성 예측 판단

 

미래에 대한 시장 흐름 예측 판단 기준으로 풋-콜 비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풋-콜 비율은 콜옵션을 분모로, 풋옵션을 분자로 둔 값인데 이 비율이 0.7에서 1이상이면 많은 투자자들이 앞으로의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풋-콜 비율이 0.7에서 0.5로 내려가면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주식시장은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는 것입니다.

 

풋-콜 비율은 주로 모든 옵션($CPC), 인덱스 옵션($CPCI), 에쿼티 옵션($CPCE) 세가지 지수가 사용되며, 이 세가지 지수가 모두 1이 넘어가면 앞으로의 시장은 단기 약세장일 확률이 높습니다.

 

풋-콜 비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google'에 'barchart CPC / barchart CPCI / barchart CPCE' 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풋-콜 비율($CPC) / 사진 출처 : barchart.com>

https://www.barchart.com/stocks/quotes/$CPC

<풋-콜 비율($CPCI) / 사진 출처 : barchart.com>

https://www.barchart.com/stocks/quotes/$CPCI

<풋-콜 비율($CPCE) / 사진 출처 : barchart.com>

https://www.barchart.com/stocks/quotes/$CPCE

 

한편 미래에 대한 시장 변동성 예측 판단으로 주로 VIX 지수가 이용됩니다. VIX 지수는 '공포지수'라고 불리는데 향후 30일간의 콜옵션과 풋옵션의 계약수를 기준으로 시장 변동성, 즉 시장의 상승 · 하락 '폭'이 얼마나 될지를 나타냅니다. VIX 지수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S&P500 ETF인 SPY입니다. VIX 지수를 산출하는 공식이 복잡하므로 여기서는 VIX 지수가 의미하는 바를 아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VIX지수는 주식시장이 상승하면 하락하고, 주식시장이 하락하면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보통 주식시장이 가장 안정적이면 10, 보통의 경우 20 전후, 25 이상이면 시장 변동성이 높다고 이해하면 좋습니다.

 

VIX 지수를 확인하기 위해서 'google'에 'investing vix' 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VIX 지수 / 사진 출처: investing.com>

https://www.investing.com/indices/volatility-s-p-500

 


 

'미국주식투자바이블(레이저 Dean Choi)' 을 학습하고,  블로그 저자의 미국 주식 투자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재작성한 글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