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투자는 내가 산 자산을 누군가 더 비싼 가격에 사줘야 이기는 게임이다.
미국 주식시장 입성기

Chapter 2. 미국 금융시장 이해하기(7) - 금융시장 내 자산시장들 간의 관계(선물시장)

by 현秀 2024. 1. 23.
<선물시장이란 무엇일까>

 

주식 투자를 하고 계신 분이라면 한번쯤은 선물, 옵션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번 장에서는 그 중에서도 선물시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실 선물 거래는 일반인들에게 많이 생소한 분야입니다. 아무래도 선물 거래가 주로 금융 · 증권업에서 종사하는 전문가를 통해 이뤄지기도 하고, 선물 거래가 위험하다는 인식이 항간에 널리 퍼진 것 또한 선물 거래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키운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전세계 선물 거래는 하루 평균 거래량이 무려 4조 달러(4,000조원)에서 12조 달러(1경 2,000조원)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에게 생소한 선물 거래가 하루에 이만큼이나 거래가 되고 있다는 것은 현재 선물시장이 다른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그럼 우리는 우선 선물 거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보는 것에서 부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선물 거래란?

선물 계약이란 선물 거래 시장에서 커머더티 중 하나의 상품을 미래의 특정 날짜에 인도하겠다고 매수자와 매도자 간 계약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처럼 미래 특정 시점에 매수 · 매도하겠다는 계약을 하면 인도 시점에는 무조건 실물을 매도자가 매수자에게 인도하고 매수자는 계약한 선물 가격을 지불해야 합니다.

<선물 계약의 개념>

 

선물시장에서는 주로 금, 은, 석유, 옥수수 등 유형의 커머더티 상품과 외환, 이자, 인덱스 등의 무형의 금융상품이 거래됩니다. 선물을 거래하는 목적은 두가지입니다. 첫번째는 위험을 회피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헤징 목적인데 주로 원유가 헤징 목적으로 선물시장에서 많이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통상 원유의 수요는 공급보다 많은 편인데,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원유 가격이 급등하는 리스크를 헤지하고자 선물 거래를 합니다. 2020년에 발생한 코로나 팬데믹,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공급망 불균형으로 인해 급등한 원유 가격을 생각해보면 헤징 목적으로 원유 선물 거래가 이뤄지는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두번째는 투기 목적입니다. 보통 선물 거래는 거래 구조상 리스크가 큰 만큼 수익도 상대적으로 큰 편에 속합니다. 보통 헤지펀드들이 이러한 목적으로 선물 거래를 하며, 주변에서 간혹 누군가가 선물 거래로 큰 돈을 벌었다 혹은 잃었다 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2. 선물 거래를 통해 차익을 얻는 방법

앞서 헤지펀드들이 투기 목적으로 선물 거래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투기 목적이라고 일반화시켰지만 구체적으로는 헤지펀드들이 선물 거래를 통해 돈을 버는 방식은 크게 차익 거래와 비차익 거래로 나뉩니다.

 

먼저 차익 거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선물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보통 똑같은 현물을 기준으로 선물시장에서의 가격은 현물시장에서의 가격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선물 거래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 커머더티인 것에서 기인합니다. 커머더티는 금, 원유, 옥수수 등과 같은 상품이고, 선물 계약에서 매도자는 미래 특정 날짜에 매수자에게 상품을 인도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커머더티 상품을 보관하기 위한 재고비용이 들게 됩니다. 그리고 선물 가격에는 현물을 보관하는데 드는 재고비용과 이자비용이 포함되어 현 시점의 선물 가격은 현물 가격보다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선물 가격(이론상) = 현물 가격 + 재고비용

 

이론상 선물 가격은 현물 가격에다 재고비용을 더한 금액입니다. 그러나 선물 시장에서는 선물의 수요 · 공급에 따라 실제 선물 가격과 이론상 선물 가격이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때 프로그램이 실제 선물 가격을 이론상 선물 가격으로 맞추기 위해 자동적으로 선물과 현물을 매도하게 되는데 이를 차익 거래라고 합니다.

 

실제 선물 가격 > 이론상 선물 가격 → (실제 선물 가격이 이론상 선물 가격보다 비싸므로)프로그램이 실제 선물을 매도하고 현물을 매수함 → 선물 가격 하락 & 현물 가격 상승 → 실제 선물이 이론상 선물 균형가격 달성

실제 선물 가격 < 이론상 선물 가격 → (실제 선물 가격이 이론상 선물 가격보다 싸므로)프로그램이 현물을 매도하고 실제 선물을 매수함 → 선물 가격 상승 & 현물 가격 하락 → 실제 선물이 이론상 선물 균형가격 달성

<차익 거래의 원리>

 

우리가 어디서 많이 들어본 프로그램 매수 · 매도가 바로 이 차익 거래입니다. 참고로 시간이 흐를수록, 즉 인도 시점에 다다를수록 선물 가격은 현물 가격과 비슷한 수준이 됩니다. 그리고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은 것을 '콘탱고'라고 부르며, 반대로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은 것을 '백워데이션'이라고 하는데 간단히 용어만 알아두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한편 비차익 거래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주가 지수 선물이 상승할지 하락할지를 예측해서 주가 지수 선물만 매매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헤지펀드들도 비차익 거래를 통해 선물에 투자하고 있으며, 주변에서 선물에 투자한다고 했을 경우 대부분은 이 비차익 거래에 속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선물 가격, 현물 가격, 차익 거래 개념이 많이 복잡한 것 같지만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두는 것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선물시장에서의 이뤄지는 거래가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는 선물시장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선물시장과 주식시장과의 관계

선물시장 상품 중 주가 지수 선물(Index Futures)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주가 지수 선물이란 주식 시장 인덱스(ex. 다우, S&P500, 나스닥 등)의 미래 움직임에 대해 선물로 계약을 해서 거래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이 주가 지수 선물이 움직이면 주식시장은 동일 방향으로 움직일 확률이 높습니다. 즉 주가 지수 선물 움직임은 그날 주식시장의 예상 흐름을 보여주는 선행지수입니다.

 

▶ 다우존스 선물 →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 ETF

▶ S&P 500 선물 → S&P500 지수, S&P500 ETF

▶ 나스닥100 선물 → 나스닥 지수, 나스닥100 ETF

 

보통 주가 지수 선물이 움직이고 나서 몇 초 후 주식시장 지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물론 시간 차이는 미미하지만). 그리고 이 지수와 관련이 있는 주식들도 이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앞서 배웠던 차익 거래 개념이 등장하게 됩니다.

 

주가 지수의 실제 선물 가격이 이론상 선물 가격과 괴리 발생 → (프로그램의 차익 거래를 통해)주가 지수 선물과 연관된 현물 ETF가 움직임현물 ETF 가격이 상승 · 하락하게 되면 ETF 내 속한 주식들의 가격이 상승 · 하락함

이를 이용하면 개장 전에 주가 지수 선물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이와 연관된 ETF 및 해당 ETF에 속한 주식들을 비교적 낮은 가격에 살 수 있습니다. 나스닥 시장을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보통 개장 전에 나스닥 선물 지수가 오르면 개장 후 차익거래를 통해 나스닥 지수가 오릅니다. 나스닥 지수가 오르면 나스닥 지수와 연관이 있는 QQQ ETF가 상승할 것이고, 동시에 QQQ ETF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큰 애플 주식이 오를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주가 지수의 선물 가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investing.com'에 접속하신 후 'Dow Jones Futures / S&P 500 Futures / Nasdaq Futures' 항목을 조회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Dow Jones 지수 선물 가격 / 사진 출처: Invesing.com>

https://www.investing.com/indices/us-30-futures-components

<S&P 500 지수 선물 가격 / 사진 출처: Invesing.com>

https://www.investing.com/indices/us-spx-500-futures

<Nasdaq 지수 선물 가격 / 사진 출처: Invesing.com>

https://www.investing.com/indices/nq-100-futures

 

 

'미국주식투자바이블(레이저 Dean Choi)' 을 학습하고,  블로그 저자의 미국 주식 투자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재작성한 글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